<속보>용인시의 인사를 둘러싼 각종 루머와 공직사회의 행태에 대노하는 등 파문이 일었던 가운데<6월9일자 1면 보도> 이번엔 난데없는 명퇴종용설이 흘러나오면서 공직사회가 또 한번 크게 술렁거리고 있다.
특히 인사때마다 꼬리를 물던 로비설을 비롯해 내정설, 밀약설 등으로 공직간 불신과 눈치보기 행태가 커지고 있다는 우려속에 시청 핵심인사들의 이름이 공공연히 또 다시 거론되면서 극도의 위기감마저 대두되고 있다.
용인 공직사회를 공포로 물들이고 있는 문제의 루머는 지난 19일부터 떠돌기 시작했다.
‘누가 누구에게 전화로 압력을 가했더라’로 시작된 설은 인사와 조직관리 등의 핵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A과장이 ‘1949년생 B과장에게 직접 명퇴를 종용했다’는 내용으로 구체화됐다.
확인 결과 루머의 당사자인 A과장과 B과장 모두 문제의 설에 대해 그런 일 자체가 없었다며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음에도 설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연금법 개정 등을 앞두고 1949년생부터 1952년생들까지의 집단 명퇴설 등이 용인을 비롯한 전국의 공직사회를 유령처럼 떠돌고 있는 터에 때마침 터진 이번 루머는 단순한 설이 아닐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또 C국장의 용퇴 및 D신임국장의 승진인사와 관련해서 제기됐던 ‘시한부 밀약설’도 모자라 이번에 시청내 핵심인사들의 ‘명퇴종용설’까지 불거지면서 핵심부서 책임자들에 대한 문책의 필요성까지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청의 한 사무관은 “인사를 둘러싼 각종 설들이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님에도 이번 명퇴종용설은 그 정도를 넘어선 있어선 안될 최악의 시나리오”라며 “시장의 고유권한인 인사권까지 언급하는 지극히 정치적인 일부 공직자들의 행태가 이번 기회에 근절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한 사무관도 “이번 설이 사실이든 아니든 이런저런 핑계를 댄 공직자들의 줄서기와 편가르기가 또 한번 확인된 것 아니냐”면서 “공직의 수장인 시장을 믿고 본연의 업무에만 매진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