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수 국무총리는 26일 ‘국민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의 담화문을 발표하고 “시위가 장기화되면 서민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된며 우리 모두가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며 호소했다.
한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에서 “정부는 이번 일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국민의 뜻을 더욱 받들고 경제와 민생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순수한 촛불시위에 나타난 국민의 뜻을 받들어 국민의 건강권을 확고하게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순수한 촛불시위가 민주정권 퇴진을 위한 폭력시위로 변질되고 있는데 정부는 불법시위에 대해선 국민의 편에 서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국제사회의 모범국가로 발전해온 대한민국의 위상이 크게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부는 고유가 관련 민생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경제살리기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더 이상 국민 여러분이 쇠고기 문제로 걱정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한 총리는 쇠고기 고시 관보 게재와 관련해서도 “추가협상 직후 고시를 바로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정부는 국민의견을 폭넓게 듣고 철저히 점검했다”면서 “고시를 너무 미루다보면 불필요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국가간의 신뢰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고려해서 오늘 고시를 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미국과의 추가협상에서 무엇보다 국민의 건강권을 지키는 데 최우선을 뒀고, 국민의 뜻을 반영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했다”며 “국민의 요구대로 30개월 이상 된 쇠고기는 수입되지 않도록 했고, 검역권한도 대폭 강화해 국민께서 걱정한 점들은 대부분 해소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제부터는 이런 합의내용이 반드시 철저히 지켜지도록 빈틈없이 관리하겠다”며 “정부는 원산지 표시, 검역지침 등의 후속조치를 철저하게 시행해 국민의 건강권을 튼튼히 지키겠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아울러 “정치권은 국회를 하루빨리 열어 수많은 민생법안을 처리하는 데 협력해달라”며 “경제계와 노동계도 지금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힘을 모아주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여권은 이날 한 총리 담화를 시작으로 서민경제활성화 등 민생안정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