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사고 사상자가 지난해 140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자 중 60세 이상 노약자가 전체 40%를 차지해 노인교통사고 방지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손해보험협회(이하 손보협회)가 29일 자동차보험을 영위하는 15개 손해보험사에서 사고로 인해 보험금을 지급한 ‘자동차보험사고’를 취합해 사고유형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연령대별 피해자 구성비를 살펴보면, 사회활동이 많은 30~40대가 전체 47.1%로 가장 많았고 사망의 경우 60세 이상 노인이 40.4%를 차치했다.
60세 이상 노인층은 연령대별 사망률(인구 1천명당 사망률)도 26.2%로 40대(8.6%)보다 3배, 30대(5.1%)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손보협회는 정부에서는 이러한 노약자의 사고를 감소하기 위해 관계법령을 개정해 ‘노인보호구역(실버존)’을 설치했지만 노인들의 출입이 잦은 공원 등은 제외돼 있어 노인의 신체·연령적 특성에 맞는 노인교통사고 방지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요일별 사고현황으로는 토요일(16.5%), 금요일(14.5%), 월요일(14.3%) 순으로 주말을 전후해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5일 근무제의 확산으로 인해 차량통행량 증가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 밖에 남녀 사고운전자별로 분석한 결과, 남성운전자는 30대(28.6%)와 토요일(15.8%)에 사고가 가장 많은 반면 여성은 40대(37.8%)가 가장 많았고 일요일(10.4%)을 제외한 모든 요일에 골고루 분포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손보협회는 이에 대해 전업주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40대 여성의 평일 운전량이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손보협회 자동차보험부 서영종 팀장은 “교통사고는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철저한 교통법규 준수 등 올바른 교통문화정착을 위한 전국민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와 지자체 모두가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권 확보 및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각종 교통시설 정비에도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