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집회가 시작된 이래 최악의 극한대치와 유혈사태가 벌어진 촛불집회 ‘강경 진압’ 논란과 관련해 여야가 엇갈린 반응을 보이며 또 대치했다.
한나라당은 “통합민주당이 오히려 폭력시위를 조장하고 있다”며 등원을 거듭 촉구한 반면, 통합민주당은 “국회의원을 폭행하는 것은 헌정 사상 유례 없는 일”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의 공식 사과와 함께 어청수 경찰청장 등 경찰 지휘라인의 전면 교체를 요구했다.
조윤선 한나라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민주당이 연일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불법 폭력·과격 시위에 앞장서고 있다”며 “폭력 시위를 제지하지는 못할 망정 이제 불법 폭력으로 변질된 과격 시위대의 선두에 서서 원내 제1야당이라는 위치마저 저버린 채 폭력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조 대변인은 또 “국회로 들어가라는 국민적 요구를 거부하는 민주당은 민생을 살리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조건없는 국회 등원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차영 민주당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어제 민주당 의원 20여명이 경찰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진압에 항의하다가 소화기 난사를 지켜볼수 밖에 없었고, 강기정 의원은 경찰의 곤봉에 폭행을 당했다”며 “현역 국회의원을 경찰 곤봉으로 폭행하고 시민은 물론 야당 의원마저 폭도로 몰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차 대변인은 이어 “어청수 청장을 비롯한 폭력진압 지휘라인의 총사퇴는 물론 안민석, 강기정 의원 폭행사건의 당사자와 지휘라인을 엄중 처벌해야 한다”며 “(대통령은) 더 늦기 전에 국민에게 무릎을 꿇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도 논평에서 “경찰의 폭력진압은 21년만에 찾아온 6.29를 독재정권 시기로 되돌려 놨다”며 “정부담화는 성난 민심의 바다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며, 독재정권에 대한 국민의 일관된 저항의지를 꺾을 수 없다”고 말했다.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촛불민심을 몇몇 폭력행위자의 과격시위로 치부, 민의를 마이동풍식으로 외면하는 정부의 적반하장식 상황인식이 안이하기 짝이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