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원시청 일부 고위 공직자들의 명예퇴직(이하 명퇴) 여부를 두고 공직사회 안팎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정부의 지방조직 개편(안)으로 인해 보직을 받지 못하는 공무원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정년이 가까워 오는 고위 공직자들의 명퇴에 대한 루머가 공공연히 떠돌고 있기 때문이다.
정년이 가장 가까워 오는 수원시청 고위공직자(서기관급)는 1950년생 A구청장과 1949년생 B구청장이다.
이들 구청장들은 수원시청 공직자 중에서도 가장 나이가 많은 인사들로 올해 1949년생 공무원들이 정년 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에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A구청장의 경우 오는 31일 구청장으로 발령된 지 1년이 되는 시점으로 정년이 1년 이상 남았을 경우 명퇴 신청을 할 수 있어 사실상 이달 중으로 명퇴 신청을 해야 한다.
A구청장은 오는 2010년 9월이 정년이지만 공무원법이 개정될 경우 퇴직 후 받게 되는 연금액이 줄어드는 등의 불이익과 보직을 받지 못하는 후배 직원들을 염두하고 명퇴에 대해 심각한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49년생인 B구청장은 정년을 앞두고 오는 12월 사회 생활 적응을 위한 공로 연수를 떠나야 하고, 정부 조직 개편 등의 악재로 끝까지 자리를 지키지 만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들 고위 공직자들이 명퇴할 경우 구청장 두자리가 공석이 되면서 사무관(5급)들의 후속 승진 인사로 이어져 심각한 인사 적체 현상을 빚고 있는 수원시 공직사회의 숨통이 다소 트일 것이라고 호사가들은 전했다.
또 이들 구청장들이 명퇴할 경우를 대비해 구청으로 발령받기 위한 본청 국장들 사이에서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1954년생인 C국장과 1957년생인 D국장이 그들인데 D국장이 나이는 어리지만 C국장에 비해 서기관 승진이 빠르고 C국장은 요직에 있는 국장이라는 점에서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는 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