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회의 미국산 쇠고기 협상 국정조사특위가 활동에 들어간 가운데 일반 시민과 시민단체, 한우협회 등은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 국민의 궁금증과 진실이 해결되기를 바랐다.
이와 함께 아직 조사대상 기관이 확실하게 결정되지 않아 추후 상황을 지켜본 후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입장과 국정조사 자체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 등 엇갈린 반응도 보였다.
특히 일부 시민들은 예전의 청문회와 같이 답변자가 위증과 무성의한 답변으로 일관할 경우, 이번에 실시하는 국정조사의 의미는 사라지게 되며 향후 민심은 정부와 국회에서 더욱 멀어지게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안산에 살고 있는 직장인 장성국(32)씨는 “현재 쇠고기가 유통되고 있는 상황에서 쇠고기 협상과정과 협정문 등을 가지고 국정조사를 벌이려는 국회를 보면 솔직히 ‘눈가리고 아웅’하는 수준으로 비춰진다”면서 “특히 여야의 정치적 입장이 국정조사란 수단과 자꾸 겹쳐 보인다”고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어 “물론 철저히 조사한다면 국민의 궁금한 부분을 해소시켜 줄 수 있지만, 실제로 그렇게 될 지 의문이 간다”고 덧붙였다.
전국한우협회 경기도지회 황인식 부회장은 “이번 국정조사는 여야합의에 의해 결정된 만큼 정치적인 입장은 자제하고 국민에게 진실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또 “추후 결과는 국민들의 판단에 맡겨야 하지만, 국회에서도 이번 청문회에 참석하게될 국가기관 답변자들에게 위증과 답변회피 등에 대한 패널티를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는 조사과정 등 상황을 지켜본 후 향후 행보를 결정할 입장이다.
광우병쇠고기 수원감시단 서정리 단장은 “농림부, 청와대 등 대상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입장을 발표하기 어렵다. 아직은 국정조사 초반단계다”며 “우선 원산지 표시제나 유통감시 방향으로 활동을 추진하면서 쇠고기 국정조사 과정을 지켜보고 이주내로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해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국가기관들은 국회 본회의를 거쳐 처리되는 만큼 요구대상 자료와 입장 표명 등을 통해 국회 요구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비췄다.
조사대상 중 하나인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국회 본회의를 거쳐 처리된 사항인만큼 국정조사특위에서 원하는 대로 협조할 방침이다”고 잘라 말했다.
한형용·김장선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