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지방투자여건에 대한 인식은 개선되고 있지만 실제투자로의 연결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일 최근 전국 800개 제조·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의 지방투자에 대한 선호도 및 개선과제’조사에서 응답기업의 62.8%가 최근 지방투자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향후 1년내 지방투자 실시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12.6%의 기업들만이 ‘투자계획이 있다’고 답해 인식은 개선되고 있으나 투자계획은 아직 수립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지방투자에 의욕적이지 못한 이유로 ‘투자여력이 없다’(55.8%), ‘경제여건이 나쁘다’(35.2%)라고 답했으며 ‘수도권이나 해외투자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답한 기업은 3.2%에 불과했다. 대한상의는 최근 경기침체와 원자재값 급등 등 대내외 경제환경 악화로 많은 기업들이 운영자금 마련도 어려워 경영여건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섣불리 투자에 나서기보다 생존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기업들은 비수도권 지역 중 투자선호지역을 묻는 질문에 대해 ‘충청권’이라는 응답이 36.4%로 가장 많았다. 이같은 결과는 기업들이 지방투자를 고려할 때 ‘입지여건’(44.2%)과 ‘인력확보·활용의 용의성’(21.2%)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투자 유형은 ‘기존설비의 교체·확장 및 공장 신·증설’이 가장 많은 56.4%를 차지했으며 지방투자 규모는 ‘5억원 미만’으로 답한 기업이 65.1%에 달했다.
한편 기업들은 지방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로 ‘세제지원 확대(33.4%)’와 ‘도로, 산업용지 공급 등 지역인프라 확충(18.4%)’, ‘지방이전보조금 등 인센티브 확대(14.6%)’, ‘인적지원 확대(9.4%)’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지역경제팀 관계자는 “현재 외투기업이나 수도권 소재기업에 한정된 지방투자 세제감면 조치를 지방 신·증설 투자 전반으로 확대하고 Land bank 제도 조기도입을 통해 산업용지 가격을 낮추는 등 지방투자 부담경감 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침체돼 있는 지방경제가 활성화되려면 기업의 지방에 대한 투자확대가 필수적”이라면서 “이를 위해 기업의 전반적인 투자심리 회복과 지속적인 지방투자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Land Bank : 정부가 도로나 산업단지 등을 짓기 위해 지역의 땅 가격이 오르기 전에 미리 사들여 토지매입비용을 줄이는 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