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매출액 1천대 기업의 지난해 순이익이 5년간 절반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기업정보데이터베이스 ‘코참비즈’를 통해 국내 1천대 기업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평균 매출액은 1조3천260억으로 지난 5년간 43%, 순이익은 907억으로 같은 기간 56.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천대 기업의 평균 연령은 26세로 5년 전에 비해 5.6%, 종업원은 평균 1천468명으로 같은 기간 9.2% 증가했다.
1천대 기업을 업종별로 분류하면 ‘제조업’이 48.5%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도소매업’(14.0%), ‘건설업’(9.2%), ‘금융업’(9.1%)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서울’이 53.5%, ‘경기’가 13.3% 등 절반이상 기업이 수도권에 편재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매년 평균 102개 기업이 1천대 기업에서 탈락하고 신규기업과 교체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02년과 2007년의 1천대 기업을 비교·분석한 결과, 기업들의 잔존율(2002년 1천대기업이 2007년 1천대기업에 속한 비중)이 71%수준으로 나타났다.
‘1천대기업’ 멤버가 자주 교체되는 업종은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도소매업’ 등이었다.
업종별로는 전기, 가스 및 수도업(100.0%), 운수업(90.3%), 건설업(81.2%), 금융 및 보험업(80.9%)의 잔존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2007년 1천대 기업 전체 매출액 중 상위 10대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20.6%, 상위 50개 기업은 50%, 상위 200개 기업은 75.4%를 차지해 5년 전에 비해 4.5%p, 3.0%p, 1.7%p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상위 기업의 집중도는 낮아졌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이는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커졌기 때문에 나타난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