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들이 업무효율화를 위해 정보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지식 정보화’에 대한 인식은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일 수도권 소재 종업원수 300인 미만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기업의 74.0%가 ‘비용절감이나 품질향상 등을 위해 정보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자사의 ‘정보화 수준’을 묻는 질문에 절반이 넘는 58.0%가 ‘보통’으로 응답해 중소기업의 정보화 여지가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활용중인 정보화 시스템으로는 조사대상 기업의 89.3%가 ‘홈페이지’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내부업무 정보화를 위한 ‘이메일 시스템’(86.3%)과 ‘회계 소프트웨어’(77.0%), ‘전사적자원관리(ERP)’(63.0%), ‘그룹웨어’(47.3%), ‘전자문서교환(EDI)’(31.3%), ‘e-러닝’(23.0%) 등이 뒤를 이었다.
홈페이지를 이용하고 있는 응답업체의 65.0%는 홍보차원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객관리와 기업간 정보화를 위한 ‘고객관계관리(CRM)’(15.0%)과 ‘공급사슬관리(SCM)’(12.0%)은 상대적으로 낮은 활용도를 나타냈으며 ‘지식경영시스템(KM)’과 ‘생산관리시스템(MES)’도 각각 4.3%, 6.3% 만이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2~3년 내 정보화 투자계획으로는 조사대상 기업의 73.9%가 ‘없다’고 응답해 중소기업들의 정보화 투자 여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나 유관기관의 중소기업 정보화 관련 지원으로는 기업들의 56.3%가 ‘자금지원’을 꼽았으며 이어 ‘기술지원’(16.7%)과 ‘세제지원’(11.0%), ‘교육훈련’(10.3%) 등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정보화 수준을 5단계로 나누어 볼 경우,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기업내 정보화’수준인 3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면서 “향후 B2B와 지식 정보화 등 지식기반 경제의 진전이라는 한차원 높은 정보화 전략의 전개를 위해 정부의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