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군·구 공무원단체로 구성된 인사불균형개선단(이하 인사개선단)은 29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인천시 인사행정은 공정성이 결여됐다”며 공정한 인사를 위한 상설협의체를 구성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사개선단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인천시 인사행정의 불균형 개선을 요구하며 다각적인 활동을 벌여왔으나 시는 승진적체 및 인사교류 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도 없이 파행적인 인사를 계속 답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인사개선단에 따르면 군·구 공무원 3천5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답변자 2천229명의 65%가 인천시 인사행정은 공정성과 합리성의 결여로 인사교류와 승진불균형에 의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설문응답자들은 전체 공무원의 12.8%에 불과한 시 본청 근무자만을 위한 소수 중심인사를 실시해 왔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인사교류와 전입인사는 승진을 위한 보직경로로 활용되고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시와 군·구간 인사교류 및 합의문에도 인사권자 인맥에 의한 특정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결과 군·구 공무원들은 인천지역 공무원 소수만이 지속적으로 특혜를 받아왔다는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인식으로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고 승진격차가 심화되며, 인적교류 침체로 군·구 상호간 교류는 없고 개인 교섭에 의한 연고지 배치가 주류를 이르는 등으로 인해 상대적인 박탈감이 심각한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군·구의 전입자 선발에 공정하지 못한 제한 요인과 인천시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인사결과 심각한 승진적체가 발생했으며, 이는 시청으로 가야만 승진이 빠르다는 인식을 낳게해 인맥과 학연, 지연, 혈연 등을 통한 온갖 인사청탁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사개선단은 불합리한 인사행정개선을 위해 교류대상 직급경력 폐지, 시의 5·6급 승진용인 군·구에 배분 및 의무적 배치, 기능직 10급제 폐지 및 상위직 확대, 사업소 소수직렬 장기근무자 군·구와 인사교류 확대와 노·정 상설인사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