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한우와 수입쇠고기가 현장에서 3시간 내 판별 가능하게 된다.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소비자들이 한우로 둔갑한 수입 쇠고기에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현장에서 손쉽게 DNA 검사를 통해 한우와 수입소, 젖소를 판별할 수 있는 ‘이동형 진단시스템 및 진단차량“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차량 이동형 진단시스템은 1톤(t) 트럭을 개조해 만든 것으로, 매장이나 음식점 등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해 DNA를 뽑고(1시간 소요) 실시간 유전자 증폭장치를 이용해 유전자를 판별(약 2시간 이내)하는 등 3시간 이내에 한우와 수입쇠고기 및 젖소고기를 약 95% 수준에서 판별할 수 있다.
그 동안 판별 방법은 농진청에서 개발된 유전자 분석 방법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법과 MS(Microsatellite, 초위성체) 마커법 등을 통해 검사를 실시해야만 했다.
이번 진단시스템 개발에 활용된 SNP 마커법은 판별율이 한우에서 100%, 수입우 및 육우에서 약 95%로 MS 마커법(100%)보다 낮으나, 신속분석이 가능하고 분석 장치, 소요되는 시약 등의 국산화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농진청은 앞으로 ‘DNA검사 관계기관 전문가협의회’를 구성·운영해 검사기관 추가선정 및 검사기관의 검사내용에 대한 지도 및 감독을 실시할 계획이며 이번에 개발된 차량 이동형 진단시스템의 보급 및 활용 방법, SNP 마커법의 보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된 한우 이동형 판별시스템은 현장에서 3시간 만에 직접 판별이 가능해 쇠고기음식점원산지표시제의 단속에 크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소 품종 특이 SNP마커를 추가로 발굴해 신뢰도를 현재 95%에서 99%이상으로 높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