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가 실물경제로 이어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대부분이 IMF 외환위기 시절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7일 최근 국내기업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현 경영여건에 대해 78.9%가 ‘IMF 외환위기 당시와 비슷하거나(42.5%) 더 어렵다(36.4%)’고 답했다.
경영여건이 더 나아졌다는 응답은 21.1%에 불과했다.
특히 중소기업 85.5%가 ‘IMF 외환위기와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고 응답해 대기업 58.8%보다 경영이 더욱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는 내수부문(81.2%)이 수출부문(69.2%)보다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기업들이 경제여건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내수침체 등 경기침체 지속’(54.2%)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유동성 악화 등 자금조달 애로’(20.4%)와 ‘영업이익 감소 등 실적 악화’(19.4%)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대다수 기업들은 ‘투자’와 ‘채용’에 대해 아직은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직까지 투자계획을 바꾸지 않았다’는 응답이 63.9%, ‘채용계획을 바꾸지 않았다’는 응답은 81.0%에 달했다.
또 응답기업의 43.9%가 ‘환율상승으로 손실을 입었다’고 밝혀 최근 환율 급등에 따른 손실규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경기침체, 유동성 및 경영실적 악화 등 우리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환율 및 금리안정,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 금융규제 완화 등 금융시장 불안해소를 위한 정부대책의 조속한 시행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