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과 직접적 연관이 높았던 물류산업에도 3년 내 녹색바람이 불 전망이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500개 제조·유통·물류업체를 대상으로 ‘녹색물류에 대한 기업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63.6%가 ‘앞으로 3년내 물류부문에서 친환경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응답기업의 64.6%는 ‘기업경영에 있어 녹색물류시스템’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녹색물류시스템 구축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는 업체는 1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중점적으로 진행되거나 계획 중인 녹색물류활동으로는 ‘친환경물질사용’(16.7%), ‘위험·유해물질 감축’(16.3%), ‘운송프로그램 개선’(13.5%), ‘자원재활용 프로그램’(13.0%) 등인 것으로 집계됐다.
친환경물류 도입시 기업의 애로사항을 5점척도로 분석한 결과 ‘높은 비용부담’(4.05점), ‘불투명한 투자수익’(3.65), ‘녹색물류에 대한 지식 부족’(3.59), ‘효율적인 공급망 구축에 부정적 영향’(3.41), ‘파트너의 지원부족’(3.35), ‘전문가 부족’(3.23) 등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의 친환경물류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정부의 지원 부문으로는 ‘수배송’ 부문이 35.2%로 가장 많이 꼽혔고 다음으로 ‘대체에너지 도입’(20.6%), ‘재활용·재사용·재가공’(16.4%), ‘생산물류’(14.2%), ‘최첨단 환경정보시스템 구축’(13.2%)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녹색물류에 대한 업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친환경 물류기술개발에 대한 세제지원, 시범사업 및 인증사업 시행 등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