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공사와 공동으로 동탄2신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인 경기도시공사가 심각한 자금난을 겪으면서 이달 말 예정됐던 토지 보상에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토지 보상 시기가 지연되면서 은행 대출을 받았거나 또 다른 지역에 토지를 구입한 기업인들과 주민들이 은행 대출 이자를 갚아야 하는 등의 피해를 입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23일 한국토지공사와 경기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07년 6월 화성시 동탄면 영천리 일대 2397만2천㎡에 동탄2신도시를 조성키로 하고 개발지구로 지정했다.
사업 시행자로 토공과 경기도시공사가 선정됐으며, 토공이 전체 면적의 65%인 1558만1천800㎡를, 도시공사가 35%인 690만㎡를 각각 조성하기로 했다.
이후 토공은 지난 8월 택지개발 사업 보상 계획을 공고했으며, 토지 감정평가와 지장물 조사 등을 거쳐 이달 말부터 본격적인 보상에 착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동탄2신도시의 전체 면적 중 35%를 개발하기로 한 도시공사가 심각한 재정난을 겪으면서 이달 말 예정됐던 토지 보상에 차질을 빚고 있다.
또 도시공사는 농협, 우리은행 등 주요 거래은행에 대출을 요구했지만 이들 은행들이 최근 경기 침체와 공사측의 BIS(자기자본비율)가 낮다는 이유로 대출을 꺼리고 있다.
이 때문에 도시공사는 토공측이 보상 비율 재산정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성사 여부는 불투명한 실정으로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주민 최모씨(56)는 “올 연말에 보상 받을 것을 예상해 얼마 전 2억원을 대출받았다”며 “매달 수 십여만원의 이자를 내고 있는데 보상이 늦어진다는 소식에 잠도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기도시공사 관계자는 “내부적인 재정난을 겪으면서 주요 거래 은행에 대출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조만간 토공측과 지분 비율을 조정하는 협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에 보상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토공 관계자는 “보상 지연은 법적인 문제는 없지만 도의적인 책임이 있는 만큼 주민 피해 보상에 대해서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