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곡과 급경사로 사고위험성이 도사리고있는 지방도391호선의 가평군과 양평군계의 야밀고개 선형개선공사가 중단위기에 처했다.
23일 주민들에 따르면 높은 경사도와 S, C자형 등 굴곡이 심해 마(摩)의 고개라고 불리고있는 이 도로를 직선화하기 위한 공사시점인 양평군 서종면 수입리 주민들이 생활권 및 영업권 피해가 우려된다며 공사추진 자체를 강하게 반대하면서 실시설계용역이 멈춰지는 등 사업추진 자체가 불투명해 지고있다.
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자 도로개선의 필요성을 공감하며 선행개선사업을 반기던 청평주민들은 이웃인 서종면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가 중단된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하며 하루속히 공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강력히 표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19일 청평면 회의실에서 있은 주민설명회에서 도로시행청인 도 건설본부는 이 도로는 경춘국도의 우회도로 역할기능을 하고있어 오는 2009년 9월 준공예정인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공사구간에 양평군 서종IC와 연계되지 않은 야밀고개 선형 개선 사업은 종합적인 도로망 구축차원에서 공사전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청평주민들의 여론을 들 끌게하고 있다.
청평지역 주민들은 “지난 1995년 이후 야밀고개 구간에서 버스, 대형트럭의 추락사고가 잇달아 발생해 10여명의 귀중한 생명을 잃고 상수원이 오염되는 사고가 발생하는데도 양평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을 중단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해 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주민들은 정상적인 사업추진을 요망하는 뜻이 담긴 주민서명을 받으며 관련기관에 제출할 탄원서를 작성하고 있다.
또한 가평군의회는 정례회에서 의원일도으로 이 사업은 수도권 간선도로망을 조기에 구축하겠다는 경기도 시책사업의 일환이라며 이 사업이 지연되거나 중단해서는 아니되며 실시설계용역을 즉시 재개하여 당초대로 완공할것과 이러한 주장이 관철되지않을 경우 책임은 경기도에 있다며 단호히 궐기할것을 분명히 밝히는 결의문을 채택해 도의 방향이 주목시 되고있다.
한편 이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이 안될경우 야밀고개 위험도로 선형개선공사는 도에 대한 행정불신은 물론 비판여론이 거세질 전망이다.
경기도에서 추진하고있는 야밀고개 위험도로 선형개선공사는 총사업비 236억원투입, 오는 2011년까지 터널1개소(520m)와 교량2개소(270m)를 놓는 등 폭 10.5m, 길이 천780m의 도로를 건설해 기존도로의 위험성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실시설계용역을 진행하고있다.
양평군민의 강한 반대로 올7월 용역이 중단된 이사업은 현재40%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