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세계적 국제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을 발판으로 인천을 동북아 항공운송산업의 핵심 클러스터 발전을 목표로 야심차게 추진하던 인천-타이거 저가 항공사 설립을 최근 포기했다.
시는 지난해 8월부터 인천국제공항을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발전시키고 4시간 내의 근거리 지역을 저비용으로 이용할 있는 서틀개념의 항공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지역항공사 설립을 추진해 왔다.
이에 따라 지난 2007년 11월 시와 싱가폴 항공 자회사인 타이거 항공과 51%와 49%지분으로 참여하는 동북아지역 중심 항공사 설립에 공동 합의하고 SPC를 설립, 인천을 항공물류도시로 개발한다는 계획에 박차를 가해 왔다.
그러나 추진과정이 가시화되면서 일부 시민단체들은 국내 저가항공사 난립으로 대부분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49%의 지분을 소유한 싱가폴 항공이 사실상 지배권을 행사할 우려가 높다며 부정적 입장을 취해 왔다.
더욱이 국내항공사들도 항공주권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답보되지 않은 상항에서 외국법인의 국내항공시장 진입은 항공법 위반이며 인천-타이거 항공의 국내 진출은 국내 저가항공사들의 도산이 우려된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다.
이같은 국내항공사의 반발로 정기항공운송사업면허와 운항증명(AOC)을 취득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했으나 지난해 4월 저가 항공사 설립요건 강화법안이 통과가 무산되면서 인천-타이거 항공의 연내취항이 가시화되는 듯 했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도래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항공산업이 위축돼 전 세계 35개 항공사가 유동성위기와 수요자 감소로 도산하는 항공사가 속출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고조됐고 시는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상항이 대두됐다. 또 타이거항공이 당초 지난해 11월 15일까지 납입기로한 자본금을 넣지 않아 사실상 무산 위기에 이르렀다.
이에 항공산업의 대부인 대한항공이 전략적 제휴를 요구해 옮으로써 시는 당초 목표인 인천국제공항을 동북아 허브로 도약시키고 시민들이 항공기 이용을 쉽게 하도록 한다는 정책방향을 유지하면서 국내 항공사 등과의 갈등을 해소하게 됐다.
그러나 시의 지역항공사 설립을 부정적 견해를 펼쳐온 시민사회 단체들은 시가 지역 여론에 귀 기울인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그동안 일방통행식 추진으로 수억원의 예산과 행정력을 낭비했다는 비난을 면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타이거항공 설립과정에서 들어간 초기자본 9억8천여만원에 대한 자금출자분을 정산중에 있다"며 "이 가운데 절반가량은 이미 경비 및 인건비 등으로 지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혀 향후 예산낭비에 대한 집중적인 추궁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