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금융산업이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금융기업 187개사를 대상으로 ‘2009년 금융산업 전망’을 조사한 결과, 올해 금융산업이 -6.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업종별로 은행업이 -7.1%, 증권업 -8.2%, 카드업 -5.9%, 보험업 -2.1%로 나타났다.
이같은 마이너스 성장률 요인에 대해 금융기업들의 32.6%가 ‘실물경기침체의 장기화’를 꼽았으며 다음으로 ‘글로벌 신용경색 지속’(32.0%), ‘PF부실규모 확대’(16.2%), ‘가계대출 불안심화’(12.8%)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조사대상 업체들의 48.9%는 ‘현재 금융권의 인위적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금융권 구조조정이 필요한 이유로는 ‘부실채권의 신속한 정리’(48.4%), ‘조직효율성 제고’(33.3%), ‘M&A를 통한 대형화·수익성 제고’(18.3%)등을 지목했다.
실제 현재 금융권이 취하고 있는 구조조정 방식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기업의 47.6%가 ‘인력조정’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자체조직중심 구조조정’(29.4%), ‘인력과 조직, 계열사 축소 등 병행’(14.0%), ‘계열사 축소 및 매각’(9.0%) 순이었다.
올 한해 국내 금융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자산건전성 강화’(60.6%), ‘대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13.9%), ‘고객수신(예금) 기반확대’(12.2%)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올해 금융전망이 다소 어둡지만 금융권의 구조조정과 자본확충이 신속히 이루진다면 한단계 도약할 수 있는 체질강화가 될 수 있다”며 “아울러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는 기반조성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올해 자본시장통합법 시대를 맞아 금융권의 75.0%는 ‘증권업’이 가장 큰 도약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가장 고전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은행업’(43.3%), ‘여신전문업’(23.3%), ‘보험업’(20.0%), ‘투자자문업’(13.4%) 등의 순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