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정책자금을 신청하기 위해 단기간에 많은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 부담이 한층 줄어들 전망이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지식경제부와 중소기업청의 각종 정책자금 융자제도를 통합하고 집행창구를 중진공으로 일원화하기로 한 ‘중소기업지원체제 효율화 방안’에 따라 중소기업 정책자금 신청 서류간소화를 추진키로 했다고 7일 밝혔다.
기존에 중소기업이 정책자금을 신청하려면 복잡한 사업구분에 따라 필요자금을 지원하는 사업 상담을 거쳐 신청서를 선택, 작성해야 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신청서를 1종으로 통합해 중진공 지역본(지)부 담당직원이 해당기업에 가장 적합한 자금을 선택해 준다.
신청서류도 그동안 필요한 서류를 사업별로 최대 16종까지 일일이 행정기관에서 받급받아 신청해야 했지만 앞으로는 중진공이 직접 받거나 현장확인으로 대체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표준재무제표증명원, 국세납세증명 등 5종의 서류는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서류발급번호를 신청서에 기재하고 특허·실용신안 등록원부는 중진공이 직접 발급받게 된다. 금융거래확인서, 시설자금신청 근거서류, 수출실적증명서 등 불가피한 서류에 대해서는 신청기업이 틈틈이 발급받은 자료를 중진공 직원의 실태조사시 확인 및 제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중진공 기업금융사업처 김범규 처장은 “이번 신청서류 간소화를 통해 정책자금을 지원받기 위한 중소기업의 시간과 비용이 상당부분 절감되고 중진공에 대한 고객만족도도 증진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