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수원 지역에 위치한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 등 8개 공공기관이 지방으로의 이전이 확정되면서 지역민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수원시와 정부간 이전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앞두고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수원시는 이들 부지의 공익적인 개발을 위해 이미 일부 부지를 공원 부지로 결정한 반면 정부는 이전 재원 마련을 위해 이 부지의 용도 변경을 통해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양 기관간 마찰이 불가피하다.
29일 수원시와 농진청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12월30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서면 심의를 통과한 농촌진흥청 등 27개 공공기관이 마련한 지방 이전 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권선구 서둔동 소재 농촌진흥청 등 산하 6개 기관(면적 130여만㎡)은 오는 2012년까지 전북 혁신도시로의 이전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를 염두해 둔 수원시는 지난 2007년 9월 ‘2020 수원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농진청과 산하 기관 부지를 친환경 주거단지와 연구개발(R&D)단지, 농업테마공원을 조성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또 영통구 망포동 국립농업과학원 3만㎡를 공원 부지로 결정했으며, 원예연구소 1만9000㎡, 축산연구소 3만㎡ 등도 근린공원 부지로 확정하는 등 이전 부지를 공익 목적으로의 개발을 추진 중이다.
반면 오는 2012년까지 전북 혁신도시로의 이전이 불가피하게 된 농진청은 이전 재원 마련을 위해 이들 부지의 용도 변경을 통해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양기관간 마찰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특히 올 연말까지 이들 부지에 대한 향후 활용 방안이 마무리 되야 하기 때문에 협의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일 것으로 보인다.
수원시 관계자는 “농진청 등 공공기관 인접 지역 등은 풍부한 녹지 공간이 조성돼 있어 시민들을 위한 개발이 우선시 되야 한다”며 “시민들을 위한 공익적인 개발이 선행되야 하는 수원시의 기본 방침은 변함 없다”고 말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수 조원에 달하는 지방 이전에 필요한 재원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부지 매각은 불가피하다”며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은 변함없으며 협의를 통해 원만히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