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수원 지역 음식점에서는 식단에 표기된 칼로리량을 비교하면서 음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8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9월부터 면적 330㎡ 이상 음식점 303곳을 대상으로 메뉴별 칼로리량과 권장 칼로리량을 표기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칼로리 표기에 앞서 오는 3월까지 업소를 대상으로 주요리와 밑반찬의 음식 유형을 조사한 뒤 메뉴별 칼로리량 표준 및 사례를 수집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토대로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칼로리량 기준표를 제작해 업소에 배포할 예정이다.
또 향후 대형 음식점에 칼로리 표기를 권장해 업계의 공감대를 형성한 뒤 내년부터 일반 휴게음식점과 제과점, 위탁급식업체 등 1만3천여개(지난해 11월 기준) 시내 모든 업소로 확대, 시행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계기로 식재료 원산지 표기가 의무화되긴 했지만 음식 메뉴에 칼로리량까지 표기하기는 국내에서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식품의약안전청과 서울시도 올해 부터 칼로리 표기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지만 수원시와 달리 특정 업체만 대상으로 삼고 있다.
식약청은 지난달 부터 패스트푸드점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표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서울시는 오는 9월부터 대한제과협회와 함께 ‘트랜스지방 없는 제과점’ 50곳을 지정, 운영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식단에 칼로리량을 표기할 경우 시민들이 비만 관리에 도움을 받는 것은 물론 업계 역시 좋은 재료로 손님상을 내놓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아직 국내에서는 법제화가 이뤄지지 않아 의무적으로 시행하긴 어렵지만 적극적인 홍보와 행정 지도를 통해 정착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