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로 ‘잡셰어링(일자리 나누기)’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지만 민간 기업들은 잡셰어링의 효과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는 소득감소로 인한 기업 직원들의 반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신규사업 추진에 대한 어려움 등 현 민간기업 상황 및 생리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기업들은 근로시간이나 기존 사원들의 봉급을 줄여 인턴사원을 채용하는 잡셰어링의 취지와는 반대로 인턴사원 및 알바형식으로 채용한 인원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16일 구직업체 및 중소기업체 등에 따르면 정부는 기존 고위직 공직자의 연봉 삭감뿐 아니라 신입사원 초임을 줄인 재원을 바탕으로 인턴사원을 채용하거나 고용을 확대하는 등 잡셰어링에 투입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공공기관과 중앙·지방정부 등 공공부문에서 잡셰어링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이런 정책이 민간분야로 확산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같은 방침에 대해 민간기업들은 공공부문 위주로 시행되고 있는 잡셰어링이 실제적인 고용 확대로 연결되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과 민간기업 현실에는 맞지 않은 부분이 있다는 점 등 부정적인 시각을 비추고 있다.
경기지역 H중소기업 최 대표는 “일부 대기업의 경우 고위직 임원을 중심으로 봉급을 삭감하는 등 잡셰어링에 동참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현재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견·중소기업들은 이에 대해 공감만 할 뿐 실질적인 도입에는 애로점이 많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많은 기업들이 경제위기를 기회로 오히려 조직을 슬림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면서 “특히 기존직원들의 봉급도 동결하는 상황에서 잡셰어링을 통해 현 소득을 반대로 줄이는 시도는 자칫 직원들의 반발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대한상의가 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도 신규 사업을 발굴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기업들이 최근 경제위기로 인해 올해 신사업이나 신제품 개발 등 신규사업을 추진할 계획(응답기업의 53.5%)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구인·구직업체 관계자는 “최근 자사가 채용담당자 151명을 상대로 조사한 자료에서 31.8%에 해당하는 48명의 응답자가 현재 고용한 알바생을 해고할 생각이 있으며 해고를 생각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로 ‘운영비 절감’을 들었다”며 “민간기업들에게 잡셰어링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운영비 절감 및 소득감소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