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자금사정이 악화되고 있어요.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공공구매제도가 더욱 확산돼야 할 것 같습니다.”
맨홀보상구씨링과 맨홀뚜껑을 생산하는 남양주의 D업체는 그동안 막대한 연구개발(R&D)비를 들여 신제품을 개발,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성능인증서까지 받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은 업체다.
그러나 최근 공공기관 구매담당자들로부터 납품실적, 제품의 신뢰성 문제 등을 이유로 맨홀 제품의 사용을 외면당하자 심각한 경영위기에 처했다.
이 업체 신모 대표는 “공공기관 구매담당자들이 남품실적과 특혜시비 등을 이유로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의 사용을 꺼리고 있다”면서 “A기관은 수의계약이 아닌 최저가 입찰을 통한 계약을 요구, 불이익을 받았다”고 토로했다.
이 같은 어려움을 겪은 신 대표는 도움을 받기 위해 경기지방중소기업청 ‘공공구매 위반신고센터’를 찾았고, 센터의 도움으로 올해만 40억원규모의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
최근신 대표처럼 공공구매 위반신고센터는 찾는 중소기업들의 발길이 늘고 있다.
환율 상승과 경기침체 등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경우 공공기관의 지원이 절실하지만 상당수 공공기관들이 민원과 특혜시비, 감사 부담 등을 이유로 중소기업 신기술제품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기중기청은 이달 초 청사 내에 공공구매 위반신고센터를 설치, 공공기관의 공공구매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한편 각 기관을 수시로 방문, 우선구매 요청을 벌이고 있다.
실제 경기중기청은 이달에만 시흥의 D사 등 총 10여건의 피해신고 접수를 받아 60여억원의 우선 구매납품 지원실적 을 올리고 있다.
이서구 경기중기청 공공판로지원과은 “최근 공공기관들이 중소기업 제품을 외면하거나 최저가 입찰계약을 유도하고 있다는 신고·문의전화가 잇따르고 있다”면서 “중소기업의 신기술제품 판로 확보를 위해 센터를 설치, 업체와 공공기관간 중재는 물론 공공구매지원제도를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공공구매지원제도는 중소기업 신제품의 판로 확보를 위해 지난 2007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공공기관의 경우 총 구매액의 50%를 의무구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