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으로 지난해 말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극에 달하면서 권리금 하락폭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올 3월 들어 주요 업종 권리금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포털사이트 점포라인이 지난해 11월부터 올 2월까지 DB에 등록된 매물 1만5136건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업종의 권리금이 4개월 간 평균 2677만원 가량 상승했다.
권리금 상승률이 가장 높은 업종은 판매업종으로 지난해 11월 4438만원에 불과했던 권리금이 4개월 만에 8103만원으로 82.6% 급증했다.
권리금 상승액으로는 패스트푸드 업종이 11월 7881만원에서 3월 초 5895만원(74.8%)이 오른 1억3776만원을 차지해 1순위를 기록했다.
이들 업종의 급증세는 각 업종에 속한 하위분류 효자 업종들의 지속적인 권리금 상승세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는 것이 점포라인측의 설명이다.
판매업종 중 편의점의 2월 말 권리금은 11월 4079만원에서 162.4%나 폭증, 1억 원 선을 돌파했고 안경점 역시 11월 8422만원에서 74.54% 오른 1억4700만원을 기록했다.
패스트푸드 업종에서도 항상 창업 1순위로 손꼽히는 제과점의 경우 불황에도 불구하고 2억원 대의 권리금을 2개월 연속 유지(2월 2억1435만원)했으며 치킨전문점도 각 가정의 외식수요를 흡수, 22.5%의 권리금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 밖에 PC방, 헬스클럽, 노래방, 당구장 등 오락·스포츠 업종도 29.84%, 음식업종 권리금은 17.58%의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주류업종 권리금은 11월부터 4개월간 9653만원에서 9737만원으로 1.05% 오르는데 그쳐 여전히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점포라인 정대홍 과장은 “지난해 말 불황으로 권리금 하락폭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기저효과의 측면이 더 크다”면서 “올 3월 말까지 지켜봐야 알 수 있겠지만 새 학기 등 계절적 요인으로 대학가 상권의 음식과 주류 업종은 상승세, 비수기에 돌입한 PC방 업종은 하향세가 점쳐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