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도권에서 택지로 지정된 면적이 1995년 이후 최저를 기록, 향후 주택을 지을 땅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3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에서 택지로 지정된 면적은 여의도 면적(848만㎡)의 4분의 1에도 못미치는 197만4천㎡에 그쳤다.
이는 1995년 167만9천㎡를 지정한 이후 최저 면적으로 참여정부 5년동안 연평균 3천243만7천㎡가 지정됐던 것과 비교해 고작 6% 수준이다.
또 지난해 전국에서 지정된 택지의 면적도 1천8만5천㎡에 그쳐 1999년(964만㎡)이후 가장 적었다.
신규 택지 지정이 부족한 것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주택시장의 불안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택지가 많이 지정돼 있으면 주택 수요를 봐 가면서 공급을 조절할 수 있지만 택지가 부족할 경우 수요의 급변에 대처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참여정부에서는 대규모 신도시를 통해 주택공급확대를 꾀해 왔던 데 비해 새 정부는 도심에서 주택을 공급하는 게 효과적인 집값대책이라고 보고 재건축·재개발 등의 활성화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아직 주택보급률이 100%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다 재건축·재개발의 경우 실제로 늘어난 주택의 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규 택지 지정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많다. 국토부는 지난해 택지지정 실적이 부진했지만 참여정부에서 대규모로 지정됐기 때문에 당분간은 택지 부족에 시달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