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중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잇따라 인하하고 있지만 국민들이 체감하는 주택구입 부담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전국 평균 주택구입능력지수(K-HAI)는 83.2로, 9월 83.9보다 0.7p 하락했다.
이는 2006년 12월 72.3, 지난해 12월 79.9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주택구입능력지수(K-HAI)는 주택금융공사가 지난해 캐나다 방식의 HAI(Housing Affordability Index) 개념을 적용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지수로,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택공사 측은 지난해 10월 이후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 주택가격 조정에도 불구, 이처럼 주택구입 부담이 소폭 감소한 것은 경기침체로 가계소득 역시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전남 1.6, 충남 1.1 등 일부 지방 지역은 소폭 상승한 반면 서울 2.6, 경기 1.9, 인천 0.4 등 수도권은 하락세를 기록했다.
특히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서울(174.5)와 경기(112.5)는 K-HAI가 100을 훨씬 상회해 주택구입 부담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