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추진중인 세계최대규모의 강화조력발전소 건설 계획에 따라 추진 중인 본 타당성 용역조사가 이달중 마무리를 앞두고 있어 결과 발표에 따라 환경단체의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8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16년까지 총사업비 2조1천300억원을 투입, 인천시 강화군 석모도 해협에 강화도-교동도-서검도-강화도를 잇는 방조제를 연결 수차발전기 32기를 설치해 세계최대규모의 조력발전소를 건립, 연간1천536GWh전기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007년 5월 인천시, 한국중부발전(주),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설립한 SPC는 타당성용역조사를 거쳐 지난해 4월 지경부에 전력수급기본계획 의향서를 제출하고, 현재 한국중부발전 발주로 본 타당성용역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지역 환경단체는 해양생태계 교란에 따른 어족자원 감소 및 저어새 서식지 파괴 등 해양환경 파괴 논란과 강화북수로 수위증가에 따른 해당지역 홍수 피해 등을 들어 반대의 목소리를 키워왔다.
게다가 강화조력발전이 재생에너지로서의 인정 여부와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사업등록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분 판매수입의 적절성 등을 견주어 볼 때 사업자체의 타당성은 극히 낮으며, 장차 한강하구를 이용한 개성공단과의 내륙수운 등을 따져볼 때 타당성의 더욱더 희박하다는 결론이다.
하지만 인천시는 기후변화협약에 의거, 오는 2013년부터 17년까지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국으로 가시화될 전망으로 향후 산업·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화석연료를 대체할 청정에너지 개발·투자가 필요하고, 에너지 수급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실정을 감안할 때 강화조력발전소 건립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시 관계자는 “현재 지난 2007년부터 한국중부발전의 본 타당성 용역조사가 진행, 마무리단계에 있으며, 이후 시민 공청회 등을 거쳐 환경피해 최소화에 주력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