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생산이 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 급감과 내수 부진이 겹치면서 역대 최악의 수준으로 악화해 경제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제조업의 성장률은 -13.5%로 작년 4분기(-9.1%)보다 더 악화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제조업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9.1%, 2분기 8.4%, 3분기 5.6% 등으로 비교적 탄탄한 흐름을 보이다 4분기 들어 가파르게 내려갔다.
1분기의 제조업 성장률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낮다. 작년까지만 해도 가장 낮은 제조업 성장률은 1998년 2분기의 -11.7%였다.
1970년 이후 제조업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경우는 드물었다. 분기별로는 ▲1979년 4분기 -0.1% ▲1980년 1분기 -3.3%, 2분기 -3.8%, 3분기 -1.4% ▲1992년 -0.2% ▲1998년 1분기 -7.0%, 2분기 -11.7%, 3분기 -9.9%, 4분기 -3.1% 외에는 없었다. 1970년 이전에는 분기별 통계는 없고 연간 성장률만 작성됐다. 연도별로는 1953년 0%, 1955년 21.3%, 1960년 8.2%, 1965년 20.5%, 1970년 19.9% 등으로 상당히 가파르게 성장했다.
따라서 올해 1분기의 제조업 성장률은 6.25전쟁 이후 최악의 상황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1분기의 제조업 실질 생산액(2005년 기준)은 5년 전 수준에 그쳤다. 2004년에는 1분기 46조7천379억 원, 2분기 51조6천99억 원, 3분기 49조4천775억 원, 4분기 53조3천460억 원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하면 제조업이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가까운 것을 감안 할 때 제조업의 침체는 곧 생산·고용 등 경제 전반에 걸친 전방위적 위축을 불러 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