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용인발전연구센터’(이하 용발연)가 당초 목적과 달리 특별한 활동성과가 없어 무용지물이 됐다는 시민들의 비난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지 2009년 4월 27일자 1면) 공동 설립 주체로 용발연 발전과 관·학협력 등의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할 강남대가 설립 이후 뚜렷한 지원없이 대학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도구로 활용한 게 아니냐는 비난이 일고있다.
27일 용인시와 강남대, 용인발전연구센터 등에 따르면 지난 2004년 용발연 설립이후 용인시민의 혈세 약 16억여원이 출연금으로 투입돼 총 24건의 기본연구와 4건의 수탁과제, 세미나 등 15건의 연구조성사업을 진행했으나 강남대의 지원은 운영협약에 근거한 센터장 및 사무원 인건비와 시설제공 등이 전부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센터장의 경우 강남대의 정식 교원으로 대학에서의 강의와 함께 센터장의 보직을 겸임하고 있고, 사무원도 정식 직원으로 센터만을 위한 강남대의 지원으로 보기 힘들다는 평가다.
또 연구 등의 실질적인 지원보다는 대학 홈페이지를 비롯한 각종 홍보자료에 부설기관으로 소개하면서 연구센터의 발전보다는 강남대의 홍보를 위해 용발연을 활용하는데만 급급한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수원시와 함께 수원발전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아주대가 사무국 외에 아주대 교원 7명을 연구위원으로 지원해 실질적인 정책성과를 내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대조를 보여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는 중론이다.
강남대 관계자는 “용발연 운영협약에 따라 시에서 들어오는 출연금 등으로 센터장과 사무원, 연구원의 인건비와 사무실, 집기 등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대학 부설기관으로 홈페이지 등에 홍보하는 것일뿐 용발연으로 대학홍보에 도움을 받았는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창세 용발연 사무국장과 시 관계자는 “용발연 설립 이후 뚜렷한 성과가 없어 시에는 많은 도움이 안됐지만 강남대 홍보에만 많은 도움이 됐을 것으로 본다”며 “대학의 홍보도 좋지만 시정발전과 관학협력 등 본래의 목적을 다할 수 있도록 폐지와 개선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중”이라고 말했다.
시민 조모씨(28·김량장동)는 “결국 시가 용발연을 핑계로 강남대 홍보에 시민혈세를 퍼준 편법지원이 아니냐”면서 “지금이라도 ‘강남대 알리기의 첨병’을 그만두고 용발연의 실질적인 운영과 제대로 된 관학협력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