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대와 용인시가 공동설립한 ‘용인발전연구센터’(이하 용발연)가 지역발전의 ‘싱크탱크’ 역할과 관·학 협력이란 당초 목적과 달리 대학의 이미지개선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지 2009년 4월 27일·29일자 1면)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속 용인외국어고등학교(이하 용인외고)가 ‘지역우수자 30% 우선 선발’등의 협약을 무시하고 ‘지역할당제’를 사실상 일방폐지하는 입시전형안을 발표해 비난이 거세게 일고 있다.
3일 용인시와 용인외고 등에 따르면 용인외고는 지난 3월말 2010년도 신입생 전형방법안에 대해 경기도교육청의 1차 승인을 받은 뒤 학교 홈페이지 등에 게시했다.
문제는 학교 설립 당시 ‘지역할당 특별전형’의 지원자격을 ‘주민등록등본상 부모와 함께 1년 이상 용인시에 거주하면서 관내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제한하기로 협약을 맺었음에도 학교측이 ‘용인시 지역에 거주하면서 관내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일방적인 변경을 시도한 것.
특히 용인외고의 이번 조치는 입시일자에 임박해 타 지역에서 유입된 학생들이 지역우수자 특별전형을 통해 입학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마지막 장치인 ‘지역할당제’를 문구 한줄 생략하는 꼼수로 사실상 무장해제를 노렸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지역우수인재 양성’을 위해 수백억 원의 학교 설립비용 부담을 감수했던 시와 84만 용인시민의 당연한 권리를 무시한 것은 물론 학교 존립 근거마저 부정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용인시에 대한 용인외고의 무시와 횡포는 학교 홈페이지에서 더욱 적나라하다. 한국외대와 외대부속어학원도 모자라 학교기업 i외대까지 버젓이 소개되고 있음에도 공동설립주체인 시 소개나 용인지역 안내가 전무한 것은 물론 아직도 곳곳에서 예전 명칭인 외대부속외고란 말이 심심찮게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용발연 설립 이후 홍보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한 강남대나 ‘꼼수찾기’에 급급한 용인외고나 할것없이 앞에서만 관·학협력을 외칠뿐 이라는 시민들의 비난이 쏟아지는 이유다.
개교이후 경희대 ‘수원캠퍼스’를 고집하다 병원설립을 앞두고 국제캠퍼스로 개명한 경희대도 행정지원이 필요할때만 ‘시’를 ‘관(官)’대접할 뿐 용인시나 시민들을 위한 지역활동이나 교류 등은 찾아보기 힘들어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태다.
시 관계자는 “용인외고의 운영과 관련 설립 당시 협약을 준수하고록 조정하고 시의 입장을 분명히 해 시민들에게 사랑받는 인재양성소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시민 김모씨(47·서천동)는 “필요할때만 관·학협력을 외치고 단물 다 빨아먹으면 돌변하는 사례가 어디 이번뿐이냐”면서 “학교발전도 좋지만 지역민에게 사랑받을 수 있도록 대학이나 고교가 스스로 노력하고 지역교류를 강화하도록 제도화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