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귀농 인구가 늘고 있다.
17일 농림수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 가구 수는 2천218가구로 집계됐다. 지난 2007년의 2천384가구에는 못미치지만 2006년(1천754가구), 2005년(1천240가구)보다는 늘어난 수치다.
1997년 1천841가구였던 귀농 가구 수는 98년 6천409가구까지 치솟았다. 외환 위기의 여파로 대규모 기업 구조조정이 이뤄지자 농촌으로 터전을 옮긴 사람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1999년에도 4천118가구에 달했던 귀농 가구는 이후 감소해 2002년 769가구로 바닥을 친 뒤 다시 상승하는 추세다.
지난해 시·도별로는 경북의 귀농 가구가 가장 많은 485가구였고 이어 전북 385가구, 경남 373가구, 전남 289가구, 충남 227가구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40대가 699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632가구), 60대 이상(528가구), 30대(328가구), 20대 이하(31가구) 순이었다.
이는 외환 위기 당시인 1998년 30대가 3천222가구로 가장 비중이 높고 40대(1천544가구)가 그 뒤를 이었던 것과는 다소 다른 양상이다. 상대적으로 귀농 인구가 고령화된 셈이다.
농업 인구의 증가는 최근의 고용동향에서도 엿볼 수 있다. 2006년 12월 이래 줄곧 마이너스(-) 행진을 하던 농림어업 분야 취업자 증감률(전년 동월 대비)은 작년 11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작년 11월 2.4%를 기록한 뒤 12월 0.3%, 올해 1월 1.2%, 2월 0.5%, 3월 1.4%, 4월 0.0%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