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중소기업들은 자금유동성 지원에 대해 정책자금 배정, 신용보증심사, 은행대출심사 등의 복잡한 심사단계로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방 중소기업청은 도내 중소기업의 금융애로 해결 및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중소기업중앙회 경기본부와 공동으로 20일 ‘중소기업 금융애로 간담회’를 실시했다.
심동섭 경기중기청장을 비롯한 한국은행, 산업은행 등 도내 금융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번 금융애로 간담회는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실태 점검 및 금융애로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중기 대표들은 은행의 BIS비율을 맞추기 위한 여신제공에 대한 보수적 운영, 금융기관의 부동산 담보인정비율이 시가의 40%에 불과해 적정금액 대출의 어려움, 정부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제1금융권의 대출금리 변동없이 보증료와 대출금리를 합해 6%대의 이자를 지급해야하는 실정 등 고충을 토로했다.
기업대표 서덕현 회장(가람나노텍)은 “현재 보증기관들이 보증서를 심사한 후에 은행권에서 또다시 심사를 하는 등 복잡한 절차를 정책자금의 경우 중진공 등에서 1차적 심사를 하고 원스톱으로 중소기업이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게 간소화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또 신영숙 이사(한국IT여성기업인 협회)는 “보증서 용도가 운전자금, 시설자금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며 “이것을 여러가지 용도를 고려해 사용할 수 있도록 보증내용에 포함, 일원화 시켜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경기중기청 관계자는 “보증서의 심사 및 용도의 일원화 문제는 중기청에서도 개선해야할 부분이라고 판단, 제고하고 있다”며 “하지만 제도개선에 따른 부작용 등 단기적으로 해결되기는 어려운 부분이 많다”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