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경기 침체와 기업 구조조정의 여파로 금융권의 부실 대출채권이 6개월새 10조원 가량 불어나며 3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음달부터 구조조정기금을 투입해 부실채권을 사들일 계획이며 은행들은 부실처리 기구인 민간 배드뱅크의 설치를 추진 중이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금융권의 부실채권 규모는 31조원으로 작년 9월 말보다 10조4천억원(50%) 급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부실채권 규모는 작년 3월 말 18조8천억원에서 6월 말 18조원으로 감소했지만 9월 말 20조6천억원으로 늘어난 뒤 12월 말 25조4천억원으로 늘어났다. 증가액이 작년 4분기 4조8천억원, 올해 1분기 5조6천억원에 달했다.
금융권역별 부실채권은 은행이 6개월 사이에 19조3천억원으로 8조9천억원, 저축은행·보험사·여신전문사 등 제2금융권이 11조7천억 원으로 1조5천억원 늘어났다.
이는 국제 금융위기로 국내외 경기가 가파르게 하강하면서 빚을 제때 못갚은 기업과 가계가 많아지고 건설·조선업종을 선두로 구조조정이 시작되면서 부실채권이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 같은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6월부터 캠코에 설치되는 구조조정기금을 투입해 우선 4조7천억원에 이르는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채권을 사들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