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하면서 온 국민이 충격에 빠져 있는 가운데 애도 물결이 전국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노 전 대통령의 서거 이튿날인 24일 경기·인천지역에서도 곳곳에 분향소가 마련된 가운데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침통하고 숙연한 분위기 속에 조문이 진행됐지만 일부 시민들은 절을 하면서 복받치는 슬픔을 참지 못해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분향소 인근에는 가족과 친지, 친구 등이 삼삼오오 모여 노 전 대통령의 생전 모습을 술회하며 애도했다.
수원역 앞 분향소를 설치하고 밤새 자리를 지킨 김모(45.여)씨는 “지난 23일 오후 7시 분향소를 설치한 뒤 시민들의 조문이 잇따르고 있다”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있어온 전임 대통령에 대한 표적 수사는 앞으로 없어져야 하고 가신 분의 유지를 받들어 사람답게 사는 사회가 하루 빨리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민 이모(58.화성시 조암면)씨는 “노 대통령 재임시절 별로 좋아하진 않았지만 3주전 우연히 경남 봉하마을을 찾은 후 그 분의 인간적인 모습을 동경하게 됐다”며 “현 정부는 전 대통령으로서 최대한의 예우를 갖추라고만 할 뿐 실질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가족을 잃은 듯한 큰 슬픔을 토로하는 이들도 있었다.
김모(46.여.수원시)씨는 “가정에서 자식들이나 아버지가 잘못을 했을 때 감싸 주듯이 전임 대통령도 국민 모두가 보살펴야 했다. 이 같은 일이 일어난 데에는 국민 모두의 책임이 크다. 모두가 반성할 때다”고 말했다.
김모(40.여.안양시)는 “매일 TV에서 보고 가까이 계시던 분 같았기 때문에 가족을 잃은 것 처럼 슬프다”며 “부디 좋은 곳에서 편하게 쉬시길 기도드린다”고 말했다.
또 향후 이 같이 일이 또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정권이 바뀐 뒤에도 전임 대통령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는 지켜줘야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시민 오모(57.여)씨는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하는데 잘한 일은 되돌아보지 않고 작은 실수만 물고 늘어지는 언론과 검찰의 태도 때문에 전대미문의 비극적인 일이 벌어졌다”며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달라는 유서 처럼 일반인의 삶을 꿈꾸던 대통령의 소망을 우리는 무시한 채 몰아 붙이기만 했다”고 말했다.
공무원 김모(46)씨는 “정권 교체때 마다 불거지는 전 정권 수사는 전형적인 후진국형 정치 행태”라며 “뇌물 수수 등 권력형 범죄도 없어져야 하며 정치인들 역시 이번 일을 계기로 순수해졌음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