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지 출산이 낮에도 가능하게 됐다.농촌진흥청은 사료급여 방식을 조절해 한우 송아지를 낮에 태어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한우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주로 6~8월 새끼를 배 284일 정도의 수태 기간을 거쳐 먹을 것이 많아지는 3~5월 송아지를 낳는다. 또 새끼를 밴 소는 천적을 피하기 위해 주로 낮에 먹이를 먹고 야간에 출산한다.
이같은 소의 습성으로 한우 농가는 분만기에 밤샘 작업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농진청 한우시험장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료급여 방식을 다양하게 조절한 결과, 배합사료 1.5㎏과 볏짚 2.5㎏을 오전 7시와 오후 5시 두 차례씩 먹인 암소가 오후 10시부터 새벽 4시 사이 분만율이 58%에 달하는 것을 알게 됐다.
반면 같은 사료량을 분만 전 1개월간 아침 사료는 주지 않고 오후 7시에 아침사료를 한꺼번에 준 암소의 75%가 오전 5시부터 오후 9시까지 낮 시간대에 송아지를 낳았다.
또 오전 7시와 오후 8시30분에 각각 사료를 준 암소의 경우, 90%가 낮 분만이 가능해 졌다.
특히 아침에는 청초나 건초 등 조사료를 급여하고 저녁에는 오후 5시에 조사료와 함께 아침과 저녁을 함한 분량의 농후사료(부피가 작고 섬유소가 적으며 소화 효율이 높은 양분의 사료)를 먹인 암소는 낮 시간대 출산이 94%에 달했다.
농진청 이명식 연구사는 “송아지를 수태한 사실을 바로 확인한 경우는 저녁 사료 급여 시간을 늦추고 늦게 수태한 사실을 알았 때는 출산 한 달 전부터 사료 조절을 하는 것이 야간 출산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