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월 자동차할부금 부담… 어떻게 대처를?
안녕하세요, 2년 후 결혼이 목표인 28세 미혼남입니다. 저는 2007년에 입사해 현재 세후 연봉은 대략 3천800만원~3천900만원 정도됩니다. 2010년 9월까지는 월 103만원이 자동차할부금으로 빠져 나가게 됩니다. 자동차할부가 끝나기 전까지는 여윳돈이 많지 않아 어디에 투자해야 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저는 안정적 자산관리를 선호하는 편이라 주식이나 펀드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는데, 잘못된 판단이 아닐까 고민 중입니다.그렇다면 적금을 들어야 할까요, 현재 생활비로 월 60~70만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도 줄여야 할까요?자동차 할부금이 끝났을 경우의 재테크 설계 부탁드립니다. 대략 2년 후 30살이 됐을 때 결혼하는게 목표이며 현명한 재무관리를 통해 35살 정도에 내집 마련의 꿈을 실현하고 싶습니다. 그 꿈을 이루어 나가기 위해 지금 제가 처한 상황에서 어떻게 재무설계를 해 나가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A. 목표를 이루려면 목표에 맞게 자산을 운용해야 하는데, 아쉽게도 현재로서는 의뢰인의 자산운용은 목표와 조금은 동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보유하고 있는 금융상품이 모두 장기상품들이고 자동차 구입으로 인해 가용자금의 규모가 대폭 줄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목표라는 것은 구체적일수록 의미가 있고 달성 가능성이 높아지게 돼 있습니다.
2년 후 결혼자금으로 대략적으로 얼마의 자금을 마련할 예정인지, 주택을 구입한다면 얼마 정도의 주택을 어떤 지역에 마련할 것인지 대략적으로라도 계획을 구체화시키는 작업을 선행하기 바랍니다.
어차피 계획은 6개월이나 1년 단위로 수정해 나가면서 달성하는 것이므로 처음 계획을 너무 완벽하게 세우려고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월 소득과 저축 = 월 소득규모는 세후 약 320만원 내외로 나이에 비해 큰 편입니다.
자동차 할부구입으로 당분간 자금운용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집보다 먼저 차를 구입하는 것이 일상화(?)된 시대이고 이미 구입했기 때문에 길게 언급할 필요는 없겠습니다.
월 생활비지출이 60~70만원대라면 소득규모 대비 20%를 조금 넘는 수준으로 낮은 편입니다. 물론 결혼자금을 충분하게 마련하기 위해 가능하다면 추가로 지출을 축소해야 겠지만 현 수준의 지출 자체는 매우 잘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할부금 지출을 제외하더라도 월 150만원 정도는 저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므로 남은 자금을 잘 운용하기 바랍니다.
◇포트폴리오에 대해 = 현재 금융상품 포트폴리오는 장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연금과 청약저축, 장기주택마련저축 등이 모두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지가 필요한 상품들이며 이들 상품에 총 50만원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모두 필수적인 상품들이기는 하지만 2년 후 결혼자금 마련이라는 목표를 위해 앞으로 추가적인 투입은 자제하고 남은 월 100만원은 모두 단기 적금으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나이가 젊기 때문에 투자형상품에 조금은 적극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있지만 앞으로 운용기간이 2년 단기이고, 결혼자금이라는 성격을 감안한다면 적립식펀드 투자는 부적합해 보입니다.
다만 장기상품 중 장마저축의 경우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용이 가능하므로 장마펀드에 신규로 가입해 펀드에 무게를 두고 운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부터 투입 가능한 월 100만원으로는 2년 동안 약 2천500만원 정도를 모을 수 있습니다. 한국 남성의 평균적인 결혼비용(주택비용 포함)은 1억원에 육박하므로 차할부금 납입이 끝난 시점에 발생하는 추가 여유자금 100만원 내외는 부족한 결혼자금마련을 위한 저축으로 운용을 해야 합니다. 결혼한 이후 주택자금 마련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다시 재정비 하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기재해 주지 않았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추가로 한 말씀 드립니다. 만약 보장성보험 가입이 전혀 없다면 여유자금으로 가장 먼저 민영의료보험과 종신(또는 정기)보험에 가입을 하기 바랍니다. 위험설계 없는 재무설계는 울타리 없는 목장과 다름 없습니다. 먼저 울타리를 치는 것이 순서임을 명심하기 바랍니다.
<자료제공 : 재테크 포탈 No1. 모네타 (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 : 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