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에도 50억 달러가 넘는 무역흑자가 발생하며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드는 ‘불황형 무역흑자’가 4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일 지식경제부가 내놓은 ‘5월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작년 동기대비 28.3% 줄어든 282억2천500만 달러, 수입은 40.4% 감소한 230억7천500만 달러를 기록, 51억5천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5월 수출입 감소율이 크게 나타난 데는 지난해 5월 수출과 수입이 나란히 29.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수치상 감소폭이 크게 보이는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품목별로는 그간 수출을 지탱해오던 선박이 지난해 5월 수출(48억 달러)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로 지난달에는 40억 달러선으로 줄어들었다.
무선통신기기(-13%), 반도체(-24%), 철강(-34%) 등도 모두 큰 폭으로 수출이 줄었고 특히 자동차와 석유제품의 수출감소폭은 각각 53%, 63%로 늘어났다. 그러나 평판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액정 디바이스 제품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 늘어 주요 품목 중 유일하게 증가했다.
40%를 넘은 수입 감소세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의 하향 안정이 주원인이었다.
지난해 5월 배럴당 110달러에 달했던 원유 도입단가가 지난달에는 49달러로 급락했고 t당 731달러였던 천연가스 가격도 지난달에는 407달러로 떨어지는 등의 영향으로 원자재 수입액(1∼20일 까지 집계)이 50.9%나 급감했다.
한편 지경부는 6월 수출은 조업일수가 지난해 6월보다 늘어나는데다 지난해 6월의 수출 증가율(16.4%)이 상대적으로 낮아 감소율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