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화 유동성 사정이 급속히 개선되면서 5월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대폭으로 급증했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말 외환보유액은 2천267억7천만 달러로 전월말보다 142억9천만 달러 증가했다.
지난 3월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3개월간 252억3천만 달러 증가하면서 작년 9월 2천396억 7천만 달러 이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월중 증가 폭은 외환보유액을 현재 기준으로 집계하기 시작한 1998년 이후 최대폭이다.
한은은 외환보유액의 운용수익 증가와 기공급된 외화유동성자금 만기도래분 회수, 유로화와 영국 파운드화의 급격한 강세에 따른 이들 통화 표시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 증가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로화와 파운드화는 지난달 달러화에 대해 각각 7%와 9% 이상 절상됐다.
외환보유액 구성은 유가증권이 1천944억 3천만 달러(85.7%)로 가장 많고 예치금 313억 5천만 달러(13.8%), 금 8천만 달러(0.04%) 등이다.
4월 말 기준으로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중국 1조9천537억 달러(3월말 기준) ▲일본 1조115억 달러 ▲러시아 3천839억 달러 ▲대만 3천47억 달러 ▲인도 2천517억 달러에 이어 세계 6위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