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1년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 지방자치선거가 부활한 이래 지방선거에서의 정당의 역할에 대한 논쟁이 끊임없이 이어져 오고 있던 가운데 최근 정당공천제 폐지론이 수면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 2006년 지방행정의 책임성을 강화는 물론 보다 체계적인 지방정치를 기대하며 정당공천제를 도입하였으나 그 결과는 오히려 지방자치가 중앙정치에 예속되어 정쟁의 제물과 부패의 온상으로 전락하는 위기상황을 초래하고 있다는 주장 또한 적지 않다.
이는 끊임없는 공천 비리와 잡음, 중앙정치의 부당한 간섭과 통제, 중앙정치인에 대한 지역정치권의 눈치 보기와 줄서기로 지역의 발전은 외면당하고 있다.
공천이 곧 당선이 되어 버리는 현재의 선거제도하에서 주권자인 주민은 우리의 일꾼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포기하도록 강요당하고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은 지역의 살림살이를 챙기고 생활정치를 펼치는 지역의 대표 일꾼이다.
지역을 사랑하고 지역을 위해 헌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유능한 지방일꾼을 뽑기 위해서는 이제 그 선택권을 지역주민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최근 기초지방선거 정당공천폐지를 위해 군포지역시민단체는 기초지방선거 정당공천제라는 잘못된 제도를 개선함으로써 지방자치문화가 건전하게 정착하고 지역의 발전과 주민의 행복이 증진될 수 있도록 정당공천제폐지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들은 당론이나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기에 앞서 지역의 발전을 통한 국가의 성장이라는 대의에 찬성한다면 즉각 선거법 개정을 위한 입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있다.
오는 2010년 지방선거에 나설 현역. 예비후보들도 최선의 지방선거는 중앙정당의 이해를 반영하는 중앙집권적인 후보 공천을 통해서가 아니라, 지역을 잘 알고 지역을 아끼는 자생적인 후보의 출마와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을 통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