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남북경색국면으로 치달을 때마다 한꺼번에 사라졌던 중국어선들은 민감한 남북관계 때문이라기 보다는 중국 정부가 불법조업 단속을 강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9일부터 4일간 일정으로 방한한 중국 황발해구어정국(黃渤海區漁政局)과 동해구어정국(東海區漁政局) 국장 일행은 해경청 본청과 남해지방해경청, 서해지방해경청 등을 찾아 밝혔다.
이들 일행은 또 중국어선 단속을 맡고 있는 한국의 해양경찰이 불법조업 중인 중국어선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중국 정부와 협조가 필요할 경우 통신망 등을 통해 즉각 통보해 줄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서해 최북단 연평도와 백령도 인근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불법 조업 중이던 중국어선은 지난달 28일부터 철수를 시작, 현재는 백령도 서북방에 3척만 남아 조업을 하고 있어 사실상 완전 철수한 상태다.
그동안 중국어선의 서해 최북단 NLL 인근에서 철수 여부는 남북간의 교전 가능성을 포함한 경색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 역할을 해왔다.
중국어선은 지난 1999년과 2002년 연평해전이 발발하기 이전에도 NNL인근 해상에서 200여척이 갑자기 사라졌고, 올해는 북한의 대남 적대 발언이 시작된 직후인 2월 초 한꺼번에 사라졌으며 그 이후에도 최고 150여척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며 관심을 집중시켰다.
중국 어선이 예년보다 일찍 철수한 이유는 중국 정부가 자국 어선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 것 외에 지정된 금어기가 보름 앞당겨진 데도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의 금어기는 매년 6월15일부터 2개월간 이지만 올해는 6월1일부터 시작됐고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철수를 지시, 어선들이 조업을 포기하고 서해 최북단에서 자취를 감춘 것이다.
해경 관계자는 14일 "중국 측이 자국 어선의 불법조업에 대한 강력한 단속 의지를 표명했다"며 "올들어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이 줄고 서해 최북단 해역에서 중국어선이 예년보다 일찍 사라진 가장 큰 요인은 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