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저소득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희망근로 프로젝트’ 제도를 시행, 다음 달부터 임금 일부를 상품권과 체크카드로 지급하기로 결정했지만 사용범위가 한정 된데다 지정된 곳에서 마저 카드사용이 불가해 시행초기부터 혼란이 예상된다.
15일 행정안전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저소득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6월 1일부터 ‘희망근로 프로젝트’를 시행, 도내 5만4천375명의 근로자는 자녀 돌봄 도우미로 파견되기도 하고 하천 정비사업, 공원 조성 사업 등에 참여해 일을 하고 있다.
이 제도에 참여한 근로자는 오는 7월 1일 월 83만원의 임금을 받고 이 중 30~35%는 각 시군별로 ‘희망근로 상품권’이나 ‘기프트 카드’로 지급받아 대형마트와 유흥업소 등을 제외한 재래시장과 소규모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희망근로 상품권’을 지급하는 수원시를 제외한 도내 30개 시군은 ‘기프트 카드’를 발급, 현금으로 출금하지 못하는 조건으로 다음 달부터 지급할 예정이다.
그러나 대부분 시군에서 지급하는 기프트 카드의 경우 카드기계가 설치된 소규모 상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해 시행초기부터 혼란이 예상된다.
실제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B문구점과 의정부시 신곡동 S슈퍼의 경우 카드기계가 설치돼있지 않아 사용이 불가한 실정이었으며 안양시, 의정부시, 평택시의 슈퍼와 문구점 등 20여 곳 이상 확인한 결과 카드기계가 없는 상점이 곳곳에서 확인됐다.
더욱이 카드기계가 설치된 상점에서도 1만원 이하의 금액은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곳도 발견됐다.
이에 따라 재래시장과 골목 상권 활성화를 위해 시행 한 제도가 그 시행 기반조차 마련되지 않아 대상자들의 불만이 우려되고, 학원비나 공과금 결제 등 사용범위가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기복지시민연대 선지영 간사는 “사용범위를 한정하고 소규모 상점과 재래시장에서도 사용을 할 수 없는 곳이 많아 이용자들 불만이 속출할 것이 분명하다”며 “사용범위를 확대해 이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임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상품권이나 카드를 각 시군에서 결정해 시행하는 것이어서 대부분에서 카드방식을 선택하면서 이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 같다”며 “학원비나 공과금 등 사용범위 확대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에 건의하는 방안을 검토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