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선(용인 기흥), 김영우(포천·연천) 의원 등 한나라당 초선의원 48명은 15일 “친이-친박 등 계파를 초월한 초선의원 공동체를 만드는 등 자기반성과 국정운영에 대해 집권 여당은 대통령과 함께 무한책임을 진다는 각오로 산적한 민생현안을 조속히 처리해 한나라당이 국민의 희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초선의원의 반성과 결의’라는 성명서를 내고 “집권여당 국회의원으로서 지난 1년을 되돌아볼 때 방관자적 태도를 보여온 것이 아닌가 하며 깊이 반성한다”며 “대화합과 소통을 위해 초선이 나서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또 “당내 계파문제가 한나라당과 국가 미래의 중대 장애요인임을 분명히 주지하고 초선의원들부터 상호 존중을 통한 대화합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친이친박이 공동 노력을 통해 공동체를 만들자는 제안을 했다”고 덧붙였다.
성명에 참여한 초선의원들은 “자기쇄신과 솔선수범을 통해 감동의 정치를 펼치고, 초선의원들이 각계 각층과 직접 소통하는 국민 대토론회를 열겠다”면서 “이제 일련의 혼돈의 모습을 일소하기 위해 엄중한 책임의식으로 버릴 것은 버리고 앞장설 것은 앞장서서 오직 국민만을 바라보며 국정운영에 나서겠다” 강조했다.
성명에 참여한 정양석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조기 전당대회 문제에 대해선 따로 논의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자기반성부터 하고 실천을 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영우 의원도 “청와대의 정치력이 부족하다고 얘기하지만 결국 국회의원들의 정치력에도 한계”라며 “무조건적인 소통요구는 막연한 만큼 초선 의원들부터 반성해 당.청 소통의 가교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초선의원들의 결의는 지난 2일 당지도부 총사퇴와 청와대, 정부의 전면 개편을 요구하고 나선 정두언, 정태근 의원 등 친이직계 강경파, 민본21, 당쇄신특위 등과 달리 원칙론적인 것이어서 앞으로 행보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