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공사 노동조합이 정부의 주공·토공 통합정책을 조건 없이 수용키로 발표한지 한달만에 기존 수용입장을 뒤엎은 통합 추진반대입장으로 돌변해 귀추가 주목된다.
토공 노조는 21일 성명서를 통해 “성공적인 통합공사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하며 협조해왔으나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통합공사의 모습은 ‘파탄나는 통합공사’로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토공 노조는 “최근 알려진 국토부의 기능 및 조직 설계안은 통합공사의 ‘재무위험관리대책’, ‘합리적인 기능조정 및 토지·주택의 기능특화를 통한 효율적 강화’, ‘객관적인 전문용역기관의 용역결과 반영’, ‘통추위 결정을 토대로 한 기능 및 조직설계를 기초로 한 인력구조조정 최소화’ 등 합리적 대안들이 완전히 무시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오는 10월 양 공사 통합에 앞서 진행하는 조직융화프로그램은 양공사의 이질적 감정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섣부른 억지춘향식 정책”이라며 “구조조정 등에 따른 직원들의 불안감이 어느정도 해소된 시점 이후 순차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공노조 관계자는 “지금까지 진행된 통합공사 추진 사항을 보면 합리적 대안들이 완전히 무시된 모정의 각본에 의한 짜맞추기식 시나리오라고 밖에 생각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만약 이러한 막가파식 정책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지금까지 통합과정에서 저행된 비리와 부조리에 대해 공개할 것이며 모든 통합작업에 협조를 철회하고 투쟁에 돌입할 것”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