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지역-세계라는 중층적 인식 아래 문학과 문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꾸준히 넓혀가고 있는 구모룡 교수의 평론집이 출간됐다.
2006년에 펴낸 ‘시의 옹호’가 시론에만 한정하고 있었다면, 이번에 펴낸 ‘감성과 윤리’는 20세기 끝자락부터 21세기 초입에 걸친 10년간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표한 글들을 총망라하고 있다. 시롬, 소설론, 문학제도론, 지역문학론, 메타비평론 등 문학전반에 관한 저자의 입장에는 ‘비판적 지역주의’의 목소리가 한결같이 녹아들어 있다.
1부(시의 지평)에서는 근대성, 땅 고통, 파시즘, 주변부 등의 개념으로 문학의 지평을 드러내고 있다. 이들은 모두 구모룡 교수의 오랜 탐구 과제들로, 우리의 근대성을 따져 그것을 극복하는 길을 찾는 일이 오늘날 우리 문학이 직면한 핵심주제라는 저자의 생각이 반영돼 있다. 이러한 글들은 세계화, 지역화, 문학공동체, 지역문학 등을 다루고 있는 4부(문학과 공동체)와 여러 동료 비평가들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는 5부(입장들)와 연관된다. 1부와 4부, 5부를 이어 읽음으로써 저자의 입장과 개성을 뚜렷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부(감성과 윤리)와 3부(삶과 성찰)에는 각각 시론과 소설론을 수록했다. 2부에서는 김수영, 이선관, 유병근 등 시인들이 전개한 시적 국면들을, 3부에서는 김정한, 유현종, 김하기 등 소설가들이 서술한 삶의 정황들을 드러내고 있다. 저자가 김수영으로 공식적인 비평 활동을 시작했고, 김정한을 통해 지역의 시각을 가지게 됐다는 점으로 볼때, 각각 2부와 3부의 첫머리에 놓인 김수영론과 김정한론을 통해 저자가 자신의 비평적 원점을 재검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증적 현실 속에서 중심과 주변을 나누는 일은 자칫 이분법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많으며, 그 위계를 고착시킬 우려 또한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중심과 주변을 나눠 살피려는 까닭은 주변부 지역 시인들에게서 발견한 가치와 그들의 노력이 그만큼 소중하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 시쓰기는 중심부의 주류적 흐름과 일정한 거리가 있다. 무엇보다 자본과 기술의 이데올로기와 거리가 먼 장치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이나 기술이 주도하는 중심부의 역장은 시의 형질마저 바꿔내고 있다. 시든 소설이든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변신 가능하다는 생각이나, 대중문화와 시가 몸을 섞으면서 시적 지향들이 모호해지고 있는 현상들이 그 예다. 새로운 감각의 언어를 시적 쇄신으로 받아들이는 ‘미래파’의 시 작업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비판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