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마련된 ‘온누리 상품권’의 유일한 판매처인 새마을금고가 제 구실을 못해 빈축<본지 9월16일자 1면 보도>을 사고 있는 가운데 관련 기관들은 미비한 판매망 확충 등 대책 마련에 여전히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특히 해당 상품권의 올해 판매실적이 현재까지 8억6천여만원으로 목표한 10억원을 초과할 전망이지만 이는 대부분 대기업과 공기업, 지자체 등에서 구입한 것으로 일반 소비자의 구매는 5%에 불과해 ‘빛좋은 개살구’라는 지적이다.
29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과 새마을금고 경기도지부에 따르면 이달 중순까지 총 8천만원에 그치며 판매부진을 계속하던 ‘온누리 상품권‘은 최근 추석을 맞아 판매량이 급증, 현재까지 도내에서 판매된 금액은 8억6천700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또 평택시와 삼성전자 등의 예약 판매분 3억원 가량을 포함하면 추석을 대목으로 삼아 목표로 했던 ‘10억 달성’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는 도내 소재한 대기업(2억3천만원), 공기업(1억8천900만원), 정부 및 지자체(3억5천만원) 등이 대부분 구입한 데 따른 것으로 실제 소비자들이 구매한 금액은 전체의 5%인 4천200만원 정도에 그쳐 빛이 바랬다.
이같은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도내 전체 새마을금고(400여개) 중 1/4에 불과한 ‘온누리 상품권’ 판매처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온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
특히 새마을금고는 자체 보유한 금고의 판매처 운영 확대보다는 소비자들이 판매처로 운영되지 않은 지점으로 방문하면 본점 판매처로 유도하겠다는 무성의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300여개의 지점을 신규 판매처로 운영하려면 카드 결제 단말기를 설치해야 하지만 대당 30만원 가량 소요되는 비용 부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경기중기청 관계자는 “‘온누리 상품권’의 유일한 판매처인 새마을금고는 중기청 등과 협약을 맺은 관계로 소극적인 홍보활동 및 판매처 확충 미비 등에 대한 강제적인 제재를 할 수 없다”고 말하고 “내년부터는 온누리 상품권의 저변 확대를 위해 판매처 추가 확보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