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가 자체자금 851억원을 들여 경인운하 서해진입항로를 준설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 국토해양부와 인천항만공사간의 ‘빅딜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김성순 의원(민·송파병)은 15일 인천항만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인천항만공사는 채권발행을 통해 2010년 438억원, 2011년 381억원 등 모두 851억원을 투입, 서해진입항로 준설 등 경인운하 부속사업을 추진할 계획으로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인천항과 경인운하는 서로 경쟁관계에 있어 인천항만공사가 경인운하 부속사업을 추진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고 경인운하 부수사업 추진은 국토해양부장관의 지시에 굴복한 것으로 부적정하며 즉각 철회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특히 “국토부 장관이 인천항만공사 사장에게 ‘인천항내 항로는 인천항만공사가 준설을 시행’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히면서 관련 공문을 공개하고 “국토부가 인천항만공사에게 경인운하 서해진입항로 준설을 떠넘기고 그 대가로 갯벌을 매립, 대규모 물류부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특혜를 주기로 했다는 ‘빅딜설’이 나돌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확인 결과 “인천항만공사가 경인운하 서해진입항로 준설에 따른 준설토 신규투기장을 경인항 부근에 약 85만㎡(25만평)규모로 조성하고 이 준설토 투기장을 중장기적으로 물류부지로 활용, 투자비를 회수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 ‘빅딜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라고 주장했다.
이날 김 의원이 공개한 ‘항로개설 추진방안 통보 및 적기추진 협조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은 지난 3월 23일 국토부 장관이 인천항만공사 사장에게 보낸 것으로 ‘경인운하 항로개설 추진방안’을 첨부, 시달한 공문이다.
김 의원은 “경제성이 부족한 경인운하의 서해진입항로 준설 등 부속사업을 인천항만공사가 담당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어 즉각 항로준설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인천항만공사의 경인운하 서해항로 준설은 향후 ‘애물단지’로 전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