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무상급식 사업을 둘러싼 경기도의회 여야 의원들간 공방이 1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정례회 도정과 교육행정에 대한 질의에서 재연됐다.
도의회 한나라당과 무소속 의원들은 시국선언 전교조 교사 징계 거부와 교육국 설치 반대 등을 놓고 김상곤 도교육감에게 파상공세를 펼친 반면 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은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상대로 무상급식 반대 및 외자유치 부풀리기 의혹 등에 대해 질의하며 역공했다.
이날 첫 도정질의자인 이희영 도의원(무·양평1)은 “16개 시·도 교육감 중 김 교육감만 시국선언 전교조 교사 징계를 거부했다”며 “김 교육감이 도 교육감인지, 아니면 전교조 대표인지 묻고 싶다”고 비꼬았다.
이 의원은 또 “김 교육감은 민주주의 원탁회의 등 정치성향을 가진 모임을 찾아가 특강을 하기도 했는데, 이는 엄연한 사전선거 운동”이라며 “만약 선거법 위반 혐의가 포착되면 선관위에 고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동석 도의원(한·광명3)은 “교육국 설치 반대 의견서를 보면 상당수가 토씨 하나 다르지 않다”며 “현장 교사들이나 교육청 직원들을 조직적으로 동원해 학부모 서명을 받은 것 아니냐”고 따졌다.
전 의원은 또 “경기도에 교육국이 설치되면 도교육청이 경기도 제2과로 편입돼 결국 교육공무원들이 지방직화된다고 왜곡시켰다”며 “이는 처음부터 경기교육을 혼란으로 빠뜨려서 이득을 보겠다는 세력들이 교육국 설치를 정치 이슈화하겠다는 고도의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의 추궁은 김문수 경기도지사에게로 향했다.
정기열 도의원(민·안양4)은 “부부 연봉 1억원 이상의 고소득 맞벌이 부부에게도 가정교사 보육료를 지원하면서 ‘부자들에게 지원해선 안 된다’며 무상급식을 반대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박세혁 도의원(민·의정부3)은 “김 지사 취임 후 밝힌 도 외자유치는 64건, 114억6천900만 달러지만 이 중 투자가 확실한 것은 11억6천900만달러(10%)에 불과”라며 “이마저 전 손학규 지사가 추진하고 김 지사가 서명한 것이 많다”고 밝혔다.
한편 여야 의원들은 지난 7월 도교육청의 추경 예산 심의에서도 김 교육감의 무상급식사업을 놓고 치열한 공방이 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