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일회성 공공근로와 비정규직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 취업교육·지원·알선 등 장기적 일자리 사업에는 전체 예산의 4.5%밖에 투입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시행하는 취업 지원제도 개선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나 도가 실업자 양산에 일조하고 있다는 불명예를 쉽게 벗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15일 도에 따르면 현재 경기도가 취업교육, 지원, 일자리 알선 등 사업에 투자하는 예산은 전체의 4.5% 수준으로, 고용인원도 6천~7천명 정도로 산정되고 있다.
이는 도가 공공부문에서 창출한 일자리 수 10만8천214개의 5.6%에 불과한 수치다.
특히 도가 운영하고 있는 경기인재포털 ‘인투인’도 일평균 방문객 수가 지난해 6천명에서 올해 1천360명으로 77.3%가 감소하고 채용인원도 5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도가 추진한 올해 채용박람회도 취업률이 지난해(4.2%) 대비 1.2%가 하락하는 등 도가 시행하고 있는 취업 지원제도 전반에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 최근 경기도 행정사무감사 자료 분석결과에 따르면 경기청년뉴딜사업의 경우 구직자 인턴채용 기업 중 39%가 경기도외 기업으로 인턴으로 채용한 후 정규직으로 전환한 기업만 분석해본 결과, 채용장려금 약 3천600여만원이 도외 기업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도의 신용회복대상자 취업지원 사업도 전년 대비 50% 삭감되고 대상자도 도내 신용회복대상 60만명 중 0.09%인 540명에 불과해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받아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