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과 김상곤 도교육감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구성을 두고 경기도의회 여·야 및 도교육청간 대립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도의회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지난 16일 조사특위 구성 안건 통과 과정에서 몸싸움을 벌인 데 이어 특위위원구성 합의에도 실패한데다 이를 계기로 한나라당이 21일 특위위원 구성안건을 또 다시 강행처리할 경우 도교육청과 법정 공방까지 가게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0일 도의회와 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도의회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본회의에서 통과된 ‘경기교육파탄에 관한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구성과 관련, 지난 18일 특위위원 구성을 놓고 막판 협상을 벌였으나 결렬됐다.
한나라당은 특위위원 18명 비율을 교섭단체 의원 수에 비례한 한나라당 15명, 민주당 3명으로 구성할 것을 주장했지만 민주당은 여·야 의원 동수(9 대 9)로 맞서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21일 도의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특위위원구성 안건을 다시 상정, 강행처리하고 민주당은 이에 대비해 또 다시 본회의장을 점거하는 등 도의회 여야간 충돌이 기정 사실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 측은 21일 본회의에서 안건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 내년으로 조사특위구성이 미뤄지기 때문에 이번 회기내 안건을 처리해야 함에도 불구, 민주당과의 힘싸움을 불사해야 하는 부담도 함께 작용, 고민의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행정사무조사특위구성 안건이 도의회를 통과할 경우 도교육청이 법적 대응에 들어갈 방침을 보이고 있어 도의회 한나라당 측의 부담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도의회 한나라당 A의원은 “21일 특위위원구성 안건뿐 아니라 도교육청예산안과 함께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도의회 야당 의원들과의 마찰은 자칫 도민들에게 왜곡되어 비춰질 가능성이 높아 부담이 가는 것은 사실”이라며 “최대한 합의점을 당일내라도 찾기를 바란다”고 토로했다.
도의회 민주당 B의원도 “양 당간의 의견을 조금씩 양보한다면 도의원간 이같은 대립을 피할 수 있을텐데, 안타까울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