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열린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경기지역 한나라당 친이-친박 의원들이 세종시 수정안을 놓고 격돌을 벌였다.
친이계는 세종시 수정안을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힌 반면 친박계는 세종시 원안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친이계가 박근혜 전 대표를 향해 인신공격하지 말라고 주문했다.
친이계 백성운 의원(고양 일산동구)는 “세종시 발전안이 무산되면 세종시에 입주하기로 한 삼성, 한화, 웅진, 롯데와 맺은 협약(MOU)은 어떻게 되느냐”며 “세종시 문제가 장기표류 할 경우 이들 기업이 해외로 투자처를 돌릴 소지는 없느냐”고 정운찬 국무총리를 상대로 따져 세종시 수정안을 고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백 의원은 “행정도시건설법이 제정된 당시나 지금이나 국민 절반 이상은 행정도시에 반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법 제정을 위한 본회의 표결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도 121명 중 19%인 23명만 참여해 8명만 찬성했다”며 박근혜 전 대표의 발언에 대해 일격을 가했다.
박 전 대표는 세종시 수정안 추진에 대해 행정도시건설법 제정 당시 여야 합의로 통과됐기 때문에 이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역시 친이계 박상은 한나라당 의원(인천 중·동·옹진군)은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세종시를 원안부터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친박계 유정복 의원(김포)은 “법으로 제정하고 선거를 통해 수없이 국민에게 약속해 왔던 세종시 원안을 파기한다면 국민에 대한 배신일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정치는 실종되는 것이고 선거의 의미는 없어지는 것”이라며 세종시 원안 사수를 주장했다.
유 의원은 이어 “박 전 대표의 세종시 입장은 한결 같다”며 “약속과 신뢰는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라는 소신과 철학 그리고 세종시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필요한 정책이라는 분명한 시각을 갖고 있다”고 박 전 대표를 두둔했다.
이학재 한나라당 의원(인천 서구 강화군갑)은 “국정혼란과 국론분열만 초래한 세종시 수정안을 철회하고 원안대로 추진할 생각이 없는가”라고 총리에게 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