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6.2 지방선거에서 개혁공천 차원에서 시민공천배심원제에 이어 ‘현역 평가’ 카드를 꺼내들어 당내 회오리가 예상되는 가운데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미풍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경 공천심사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26일 공심위 회의를 열어 이번 지방선거에 재도전하는 현 광역·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에 대한 업무평가를 실시, 공천 과정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선거구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전화면접 여론조사를 비롯, ▲선거공약 이행 여부 ▲당론준수와 해당행위 여부 등 당 정체성 ▲종합적인 자치단체 운영 및 의정활동 등을 평가해 점수로 계량화한 뒤 공천 심사에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민주당 안팎으로 상당히 술렁이는 분위기다. 지난 2008년 4.9 총선 때 박재승 당시 공심위원장 주도로 호남 현역 30% 물갈이가 단행된 사례가 있기에 이번에도 대대적인 물갈이가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 속에서도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미풍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이유는 평가 대상 현역 광역·기초단체장은 30여 명 정도인데 서울 강동구청장과 구리·시흥시장 등 3명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공심위 15명 모두 주류 측 인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호남을 발판으로 하고 있는 비주류 즉 정동영계는 이번 공천 물갈이를 통해 상당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번 현역평가제는 사실상 호남 물갈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주류와 비주류의 싸움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경기지사 공천 경쟁이 주류와 비주류의 대리전이라는 인식이 있으면서 이런 공천 물갈이 조짐도 경기지사 공천 경쟁에 다소나마 영향이 있을 것으로는 예상된다. 하지만 직접적인 영향은 미비할 것으로 전망된다.